Modern Rock 에 대해서...
모던록 이라는 명칭은 매우 모호한... Pop/Rock(팝락) 처럼 광범 위한 음악적 사조임에는 틀림없다.
하나의 장르라기 보단.. 기존 락음악의 정형인 자세와 본질에서 벗어나 상업적 자세를 비판하는 자세와 경향 내지 성향을 띠던 음악들을 (80년대 후반 ~ 90년대 초반) 모던락이라 블렀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 모던락 이라고 불리우는 가요음악들은 사실 "모던락"으로 총칭되어선안된다. 그러나, 음악적인 겉모양 (형식적인 면에서 70년대의 펑크나 정통 하드락의 방식과 비틀즈나 롤링스톤즈 등의 복고적인 냄새가 강한) 은 모던록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모던록"이 새로운 트랜드로서 자리를 굳혀가고 있으며, "Rock-Ballad" 스타일과 함께 상업적인 음반구성에 중요한 몫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 70년대말 디스코 열풍에 이어 80년대 여피들의 여가용 음악 "뉴 로맨틱스"가 음악시장을 점령하면서 "청년 반문화-저항음악" 록은사망 선고를 받는다. 모던록은 전통적 록 시대가 이렇게 막을 내린 뒤 등장한 80년대이래 록음악을 통칭하는 말이다. 그런데 60년대∼ 70년대와 달리 이 시기 록은 팝, 포크를 비롯한 다른 장르들과 활발한 경계 넘나들기를 해왔다. 때문에 음악적으로 모던록 개념은 아주 포괄적이다. 빌보드 모던록 차트만 봐도 전통적 의미의 록이 라기보다 팝이나 포크, 테크노, 댄스에 가까 운 음악들이 다양하게 등장한다."
모던록을 가장쉽게 표현한다면... 그것은 "복고(復古)"라는 단어일 것이다. 특유의 영국 록 사운드로의 회귀..이는 80년대 후반부터 Hard Rock & Metal 의 지나친 상업주의와 정체된 음악들.. 그사이 Pop-Rock 과 Folk-Rock Teen Pop 음악 들의 성장에도 그 요인은 있었다. 그러한 복잡 미묘한 상황속에서 미국에서는 얼터너티브 라는 스타일을 가진 (이 역시 모던록으로 봐야 한다.) 음악이 새로운 Rock 음악을 대변하게 된다. 이 즈음에 미국 에서 는 R.E.M 같은 밴드가 대학가를 중심으로 대중들의 지지를 획득하기 시작했으며, 여성 보컬을 앞세운 Blondie(블론디)도 대중적인 인지도를 확보하기 시작했다. 영국의 경우엔 보다 팝스 타일이 강한 사운드 (New Wave) The Police 와 U2, Pearl Jam 등의 서정성 짙은 음악들이 활성화 되었다.
팝적인 멜로디는 마찬가지였지만 미국의 경우엔영국보다는 조금 더 하드하고 헤비한 음악이 득세하게 된다. 미국적 성향의 헤비하 고 하드한 성격의 얼터너티브 록 이든 좀더 멜로딕한 브릿팝이든 모두 모던락의 범주로 보는게 정설이다.
대표적인 모던록 아티스트들을 꼽아보면 80년대의 R.E.M 과 Blondie 90년대초반부터 Nirvana(너바나), Alanis Morissette (앨라니스 모리셋) No Doubt(노다웃), Corrs (코어스), Radiohead (라디오헤드), Oasis (오아시스) 등을 들수가 있다. 국내에는 자우림, 델리스파이스, 박혜경 등이 모던록 스타일을 추구하는 아티스트 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