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강의 55.] 자유와 평등의 조화 자유와 평등의 조화 +논술을 위한 辨 자유와 평등의 대립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만큼 입시 논술을 앞 둔 수험생들도 한번쯤 생각해 보았을 만한 친숙한 주제다. 이 주제에 대하여 대부분은 자유와 평등의 대립이 경제적 영역에서 첨예하게 나타남을 지적하고, 그를 해소하는 유일한 방..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4.12.21
[詩 이야기] 시인 고정희, 노래를 부르며 죽음의 강을 건너다. 詩 이야기] 시인 고정희, 노래를 부르며 죽음의 강을 건너다. 들어가며... 고정희 시인은 전남 해남에서 출생하였고, 한국신학대학을 졸업했다. 『현대시학』에 <연가>가 추천되어 문단에 나왔으며, ‘목요시’ 동인으로 활동했다. 1983년 『초혼제』로 ‘대한민국문학상’을 탔다. 시..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4.12.18
<<주저리주저리>> 사진의 말에 주의하라./ 강미 <<주저리주저리>> 사진의 말에 주의하라. / 강미 --------------------------------------------------------------- 이 글에 수록한 사진은 경향신문에 '기도하는 모정' 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수능일에 시험장인 한 학교 앞 풍경이다. 자녀가 수능시험장에서 시험을 치루는 내내 사진 속 엄마는 추..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4.12.09
[논술강의 53.] 윤일병 폭행사망 사건으로 본 양심적 병역거부와 법 [논술강의 53.] 윤일병 폭행사망 사건으로 본 양심적 병역거부와 법 군 입대를 앞둔 아들을 둔 부모나 군에 아들을 보낸 부모들을 경악시킨 윤일병 폭행 사망으로 인해 다시 한번 우리 군 문화의 문제가 이제는 어쩌다 생기는 불행한 일이 아닌 구조적 문제임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4월 윤..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4.08.02
일요공개특강- 사회적 생태론, 머레이 북친을 중심으로.../강미 일요공개특강- 사회적 생태론, 머레이 북친을 중심으로.../강미 들어가는 말...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생태환경을 무시한 난개발이란 비판이 끊이지 않는 4대강 사업, 강정 해군기지 사업에서 보이는 자연 생태와 전쟁, 군사 문제의 충돌 등 최근의 환경문제는 그 원인이 인간의 사회..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3.03.21
[3월, 생각을 위한 책] 하나의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 / 안희경 지음 [3월, 생각을 위한 책] 하나의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 / 안희경 지음/ 출판사 오마이북 <출판사의 책소개 > 우리의 가치를 확인하는 특별한 여정이 펼쳐진다! 세계의 지성들이 말하는 한국 그리고 희망의 연대『하나의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 불교방송 PD로 일하다가 2002년 미국으로 ..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3.03.16
[논술강의 49] 프란츠 카프카의 '城' - 권력과 욕망의 관계 성(城) - 프란츠 카프카 절망에 갇힌 실존, 희망의 출구를 찾아 서성이다. 뜻밖의 공간이 이어지는 그의 소설에서 막다른 골목에 몰린 삶의 고통을 보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달리 해석하면 삶은 종말 없는 과정이며 따라서 출구란 어디에 숨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서 있는 곳에 ..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2.07.29
[논술강의 48.] 현대사회에서 노동의 의미에 대해... [논술강의 48.] 현대사회에서 노동의 의미에 대해... 노동은 인간과 자연 사이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인간은 자신의 행위를 통해 자연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통제한다. 인간은 자연의 물질을 자신의 삶에 유익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 팔, 다리, 머리, 손과 같은 자신의 신체기..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2.07.18
[논술강의 47.] 인간복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논술강의 47.] 인간복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인간복제에 대한 바람직한 시각을 갖기 위해서 먼저 생식과 복제에 대한 개념을 비교해 보자. 생식을 위해서는 두 가지의 상호보완적인 과정이 요구된다. 첫째, 암수가 생식세포를 만든다. 생식세포는 원래의 체세포가 가진 염색체 수의 절반..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2.06.06
[논술강의 46] 소비지향적인 사회의 대안, 존재지향적인 삶의 추구에서 [논술강의 46] 소비지향적인 사회의 대안, 존재지향적인 삶의 추구에서 에리히 프롬은 ‘소유냐 존재냐’라는 자신의 저서에서 현대 사회의 문제점의 원인을 소유 지향적 삶의 방식이라고 피력했다. 다양한 가치의 생존보다는 자신의 욕망에 치우쳐 모든 것을 소유하려고 하는 인간에게 .. § 강미의 문학서재 §/◎ 칼럼 & 논술문 2012.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