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ude Bolling (클로드 볼링)
실력있는 재즈피아니스트이자 밴드 리더, 작곡가로서도 널리 알려진 클로드 볼링(Claude Bolling)은 클래식에 기반을 둔 스윙감 있는 연주와 현악기와의 협연을 담은 소품집과 영화음악으로도 특히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뮤지션이다.
클로드 볼링은 팝, 재즈 그리고 클래식 스타일을 혼합한 독창적인 작품을 통해 널리 알려져 있으며, 랙타임, 부기우기, 블루스, 스탠더드 팝 분야의 레코드 작업을 통해 크로스오버 음악의 기틀을 제공한 뮤지션이다. 또한, 그는 프랑스의 그래미상이라 할 수 있는 그랑프리 디스크를 여섯 차례나 수상하였다.
재즈와 클래식을 결합하는 시도는 클로드 볼링 뿐아니라, 조지 거쉰(George Gershwin), 데이브 브루백(Dave Brubeck), 자크 루시에(Jacques Loussie), 모던 재즈 쿼텟(Modern Jazz Quartet), 스윙글 싱어즈(Swingle Singers) 등 많은 뮤지션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는 세계 정상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여 더욱 그 명성을 높이기도 했다.
1930년 4월 10일 프랑스 영화의 도시 칸느에서 태어난 클로드 볼링은 어려서부터 피아노를 연주하기 시작하였으며 12세 때부터 정식으로 음악교육을 받았다. 14세에 벌써 천재적인 재즈 피아니스트로 알려지기 시작했던 그는 라이오넬 햄튼(Lionel Hampton), 레이 에드리지(Roy Eldridge), 케니 클락(Kenny Clarke) 등 유명 재즈연주자들과 함께 연주를 하기도 하였다. 자신의 밴드를 결성할 정도로 놀라운 재능을 보였던 클로드 볼링은 15세부터 본격적으로 클럽에서 정기적 공연을 펼치며 연주자로서의 자질을 다져나갔다. 이후 딕시랜드 재즈 밴드의 레코딩에 참여하여 훌륭한 솜씨를 선보였던 클로드 볼링은 듀크 엘링턴(Duke Ellinton), 장고 라인하르트(Django Reinhardt)와 같은 거장들과 함께 유럽 순회공연을 단행하며 자신의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었다.
1956년 자신의 첫 리더작 [Claude Bolling Plays Duke Ellington]의 호평으로 재즈팬들의 관심을 불러 모았던 클로드 볼링은 이후에도 빅밴드와 함께한 [Les Succes de Django Reinhardt] [Anderson, Claude Bolling and Company] [Original Bolling Boogie]등의 앨범을 발표하며 프랑스는 물론 유럽을 중심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클로드 볼링은 1975년부터 최정상급의 독주자들과 그가 이끄는 재즈 피아노 트리오(Jazz Piano Trio)와의 협연으로 일련의 Jazz-Classical 크로스오버 앨범들을 발표하였다. 1975년에는 그의 대표작으로서 '황금의 플루트'라고 불리우는 플루트 주자 장 피에르 람팔(Jean-Pierre Rampal)과의 멋진 협연을 담은 [Suite for Flute and Jazz Piano Trio]를 발표하여 많은 재즈팬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플루트와 재즈피아노 트리오를 위한 모음곡'이라는 제목을 가진 이 앨범은 빌보드 차트에서 530여 주간을 머무르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또한 기타리스트 Alexandre Lagoya와는 [Concerto For Guitar And Jazz Piano Trio]를 발표하였다. 1977년에도 핀커스 주커만(Pinchas Zukerman)과 함께 바이올린과의 절묘한 조화를 이루어낸 [Suite for Violin and Jazz Piano]를 발표하여 재즈와 클래식의 완전한 융합을 통한 수준높은 크로스오버를 창조해냈다. 그리고 이 음악들을 포함한 그의 작품들은 그를 현존하는 현대음악의 작곡가로서 인정을 하도록 만들었고 조지 거쉰 이후 이 분야에서의 최고의 업적을 남기는 결과를 낳았다.
그는 80년대 이후에도 첼리스트 요요마(Yo-Yo Ma)와 함께한 앨범 [Suite for Cello and Jazz Piano Trio]을 발표하여 수많은 재즈 팬들을 매료시켰다. 또 [Jazz Brunch], [With the Help of My Friends]등의 앨범을 발표하며 팬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특히 1999년에는 듀크 엘링턴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뜻으로 [A Tribute to Duke Ellington]을 발표하여 주목을 끌기도 했다.
|
'§ Jazz & Blues § > ♠Jazz&Blues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ues음반] 김현철 3집: 횡계에서 돌아오는 저녁 (0) | 2010.11.27 |
---|---|
[Blues음반] 다시 Luther Allison 을...블루스, 마지막까지 타오르다. (0) | 2010.11.13 |
[Jazz인생 35.] 자유로운 영혼 Bird, 찰리 파커... (0) | 2010.10.05 |
[Jazz인생 34.] Bill Evans Trio ... Portrait in Jazz 1959 (0) | 2010.09.16 |
[Jazz인생 33.] 재즈 빅밴드의 전설이 된 'The Glenn Miller (글랜 밀러)' Story (0) | 2010.07.28 |